교육 정보

I'd의 축약; I had 일까? I would 일까? 구별법

네버스탑23 2025. 4. 3. 11:54
반응형

가끔 영어 문장을 보면 I'd ~라고 나오는 문장이 있는데 

이게 I had 인지 I would 인지 구별법이 궁금한 순간이 있습니다. 

올해 수능특강 영어 14강 2번 지문에도 

I'd let my own disinterest lead to not doing what they were telling me they desired.

라는 문장이 나옵니다. 

let은 동사 3단 변화형도 다 let-let-let인데 어떻게 구별하지요?

쉽게 구별하는 법 정리했습니다. 

 

1. 뒤에 오는 단어를 확인하자!

  • "I'd + 과거분사 (p.p.)"had의 축약형
    • 예: I'd seen that movie before. (= I had seen that movie before.)
    • 과거완료(had + p.p.)나 가정법에서 사용돼.
  • "I'd + 동사 원형"would의 축약형
    • 예: I'd love to go with you. (= I would love to go with you.)
    • 조동사 "would"가 들어가서 미래의 가능성, 습관, 의향 등을 나타내.

2. 문맥을 보고 판단하자!

  • 가정법, 희망, 습관 등을 나타내면 would
    • 예: If I were you, I'd take the job. (= I would take the job.)
    • "만약 내가 너라면" 같은 가정 상황에서는 "would"
  • 과거의 어떤 시점보다 더 앞선 과거를 말하면 had
    • 예: I was late because I'd forgotten my keys. (= I had forgotten my keys.)
    • "열쇠를 깜빡해서 늦었다" → "깜빡한" 게 더 과거니까 "had"

3. 질문을 바꿔서 풀어보기

  • "I'd finished my work."
    → "I had finished my work."라고 풀면 자연스러워! (과거완료)
  • "I'd help you if I could."
    → "I would help you if I could."라고 풀면 자연스러워! (가정법)

👉 정리:

  • 뒤에 "과거분사"가 오면 → had
  • 뒤에 "동사 원형"이 오면 → would
  • 문맥을 봤을 때 가정이나 희망이면 → would
  • 과거보다 더 과거를 말하는 거면 → had

이제 쉽게 구별할 수 있겠죠?

 

그럼 위에서 나온 문장은 뭐냐구요?

윗 문장은 had입니다. 

위에는 적지 않았지만 

주어진 문장은 that절이었고 

원래 문장은 

I admitted to students that I'd let my own disinterest lead to not doing what they were telling me they desired.

이기 때문에 과거 시제 admitted보다 더 이전의 일을 나타내는 had p.p로 봐주는 것이 적합하겠습니다!

 

오늘도 열공하시기를요!

반응형